전략계획이 아닌 것을 찾기
(1) 전략계획은 수법이나 프로그램이 아니다. 전략계획은 책임이다.
(2) 전략계획은 미래를 예측하는 것이 아니다. 사업의 미래는 과학이 아니라 인간사회있기 때문에 예측은 할 수 없다.
기업자적인 공헌은 경제, 사회, 정치를 바꿀 혁신을 뜻한다.
(3) 전략계획은 미래의 의사결정이 아니다. 의사결정은 현재에만 존재한다.
내일 무엇을 해야하나 가 아니라 불안한 내일을 위해 오늘 무엇을 해야하나 이다.
지금의 의사결정으로 어디까지 예측가능하고 그 예측가능한 범위 내로 얼마나 합리적으로 의사결정을 해야하나 이다.
(4) 전략계획은 리스크를 없애거나 최소로 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경제활동이란 불확실한 기대에 자원을 미래에 보내는 것이다. 즉 경제활동은 위험을 지는 것을 뜻한다.
위험을 없애는 행위는 아무런 발전이 없다. 위험을 최소화하는 행위도 마찬가지이다.
성과를 얻기 위해서는 반드시 위험부담이 따른다.
전략계획을 성공하기 위해서는 더 큰 위험을 부담하는 것에 있다.
더 큰 위험부담을 부담하는 것이야 말로 기업가로써 성과를 얻기위한 유일한 방법이다.
전략계획이란 무엇인가?
전략계획은 다음과 같다.
(1) 위험과 함께 기업가적인 의사결정
(2) (1) 의 의사결정을 실행하기 위한 활동을 체계적으로 조직
(3) 그러한 활동을 계속적으로 기대치와 비교하는 프로세스를 만듬
어떠한 종류의 활동, 제품, 공정, 시장에 대해 [이것을 오늘 안하면 다시 해야하나] 라는 질문에 NO 라면, [그럼 하루 빨리 이것을 그만두자] 라는 결론이 나올 수 있다. 더 나아가 [무엇을 언제 행해야 하나] 라는 질문이 나올 수 있다.
[무엇을 언제 행해야 하나] 이 질문이 중요한게 새로운 의사 결정의 실행일이 결정나기 때문이다.
좋은 전략계획도 구체화되어 인적자원에 분담되어 실행되지 않으면 아무런 의미가 없다.
따라서 이계획을 실행시키기 위해서 누구누구에게 언제 맡겨야 하는지가 대답이 나와야 한다.
전략계획은 행동을 구체화하여 각각의 인적자원에 분담을 시켜 실행 시키는 것 이다.
'자기발전'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매니지먼트 (8) - 공적기관의 성과 - 공적기관부진의 원인 (0) | 2023.06.20 |
---|---|
매니지먼트 (7) - 공적기관의 성과 - 다원사회의 도래 (0) | 2023.06.20 |
매니지먼트 (5) - 기업의 성과 - 사업의 목표 (0) | 2023.06.16 |
매니지먼트 (4) - 기업의 성과 - 사업은 무엇인가? (0) | 2023.06.14 |
매니지먼트 (3) - 기업의 성과 - 기업은 무엇인가? (0) | 2023.06.14 |